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!
오늘은 관절, 척추, 연부조직에서 흔히 시행되는 시술 중 하나인
Endoscopic Debridement (내시경적 변연절제술) 에 대해 정리해볼게요.
특히 감염성 질환, 만성 염증, 힘줄 또는 디스크 병변 등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용어입니다.
외래 및 수술실 근무 간호사에게도 중요한 내용이니 참고해 주세요!
⸻
정형외과 의학용어 정리 – Endoscopic Debridement (내시경적 변연절제술)
⸻
1. 정의
Endoscopic Debridement는
내시경(Endoscope)을 이용해 염증이나 손상 부위의 죽은 조직(necrotic tissue), 고름(pus),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시술입니다.
✅ 쉽게 말해:
내시경으로 안쪽을 보면서 병든 조직을 깔끔하게 정리(clean up)하는 치료
⸻
2. 적용 부위
• 척추: 감염성 척추염(spinal infection), 추간판염(discitis) 등
• 관절: 화농성 관절염(septic arthritis), 퇴행성 연골 손상
• 힘줄: 아킬레스건, 회전근개, 슬개건 등의 만성 염증
• 피부연조직: 만성 욕창, 당뇨발 등
⸻
3. 적응증
• 감염성 질환에서 농양(고름)이 형성된 경우
• 만성 염증으로 인해 비활성화된 조직이 지속되는 경우
•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연부조직 병변
• 조직 재생과 회복을 위한 병변 부위 청소 필요 시
⸻
4. 시술 방법
• 국소 또는 전신 마취 후 내시경 삽입
• 병변 부위를 영상으로 확인하며
죽은 조직, 이물질, 고름 등을 기계적 방법으로 제거
• 필요 시 세척(saline irrigation) 및 배농관(drain) 삽입
⸻
5. 시술 후 간호 포인트
• 시술 부위 출혈, 발적, 발열, 부종 유무 관찰
• 감염 예방 위해 항생제 투여 여부 확인
• 배액관이 있는 경우 배출 양상 및 색깔 체크
• 조직 회복을 위한 영양 상태 및 면역 상태 평가
• 수술 부위 움직임 제한 여부 및 재활 계획 파악
⸻
✅ 마무리
Endoscopic Debridement는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면서도
감염성 병변이나 손상된 조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술입니다.
특히 감염 조절이 중요한 환자에게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는
중요한 치료 중 하나로, 수술실 간호사나 병동 간호사 모두
이 시술의 목적과 간호 포인트를 이해하고 있어야 해요!
다음에는 Spinal Irrigation, Percutaneous Drainage, Curettage 등
비슷한 감염 및 염증성 수술 용어도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:)
'정형외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형외과 자주 사용하는 용어 정리 - Rotator Cuff Tear (회전근개 파열) (1) | 2025.06.02 |
---|---|
정형외과 수술 정리 – Frozen Shoulder (유착성 관절낭염, Adhesive Capsulitis) (1) | 2025.06.01 |
정형외과 의학용어 정리 – Loose Body Removal (관절 내 유리체 제거술) (1) | 2025.05.30 |
정형외과 의학용어 정리 – Impingement Syndrome (충돌 증후군) (0) | 2025.05.29 |
정형외과 의학용어 정리 – Ossicle Removal (소골 제거술) (1) | 2025.05.28 |